본문 바로가기
세계사

쉬수정의 외몽골 출병과 복드 칸국 점령

by momentoushistory 2024. 11. 7.
1. 배경: 외몽골과 복드 칸국의 독립 움직임

1911년 청나라의 몰락과 산해혁명으로 중국 내 혼란이 일어난 가운데, 몽골 지역은 청나라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을 추구하게 되었습니다. 외몽골은 복드 칸을 국왕으로 하는 복드 칸국(Bogd Khanate)을 수립하며 자주성을 선언하였고, 이는 러시아 제국의 지원을 받아 몽골 내에서 독립국으로서의 위치를 강화하고자 하는 의도였습니다. 그러나 1917년 러시아 혁명과 러시아 내전이 일어나며 러시아의 지원이 중단되자, 외몽골의 독립은 위태로운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을 틈타 중국 베이징 정부는 외몽골을 재차 통제하려는 계획을 수립하게 됩니다. 특히 당시 북양 정부의 주요 인물 중 하나였던 쉬수정(徐樹錚)은 외몽골 점령을 위해 외몽골 출병을 준비하였고, 이는 외몽골 자주성에 대한 도전이자 중국 내 이익을 강화하려는 시도로 평가됩니다.

2. 쉬수정의 외몽골 출병과 군사적 전략

1919년 10월, 쉬수정의 지휘 하에 중국 변방군이 외몽골의 수도인 후레(Ulaanbaatar, 당시 이름)로 진격하게 됩니다. 쉬수정의 외몽골 출병은 북양 정부의 정치적, 군사적 의도를 배경으로 하였으며, 외몽골을 통제하여 중국의 영토 통합을 확립하려는 목적을 담고 있었습니다. 당시 쉬수정은 대규모 군대를 동원하여 신속한 속도로 후레에 접근하였으며, 별다른 저항 없이 후레 진주를 성공시키며 외몽골을 실질적으로 장악하게 됩니다.

쉬수정은 주로 비정규전(guerrilla warfare)진지전(positional warfare)을 결합하여 외몽골 방어선을 무력화시켰습니다. 외몽골의 군사적 저항은 미약했으며, 이러한 무력 차이는 중국 변방군이 복드 칸국의 수도를 효과적으로 장악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반응형

후레를 점령한 중국 군대

3. 복드 칸국의 점령과 쉬수정의 통치 방안

후레를 장악한 쉬수정은 복드 칸국의 군주였던 복드 칸(Bogd Khan)을 명목상의 지도자로 유지하면서도, 실질적으로 외몽골을 직접 통치하는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쉬수정은 외몽골 내 여러 개혁과 함께 중국의 행정 시스템을 도입하려 했으며, 외몽골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경제적 이익을 강화하고자 했습니다.

특히 쉬수정은 몽골 내부의 저항을 억제하기 위해 외몽골 귀족과의 협상도 시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외몽골의 정치적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은 외몽골 민중 사이에서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외세의 지배에 대한 불만이 커져갔습니다.

4. 외몽골 점령의 국제적 반응과 러시아 볼셰비키의 대응

외몽골 점령은 국제적으로도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당시 소련의 볼셰비키 정권은 외몽골이 러시아의 전통적 영향권에 속해 있다고 보고, 이를 방어하기 위해 몽골 민족주의자들과 연대를 모색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몽골 혁명(Mogilian Revolution)이 일어나며, 복드 칸국의 독립을 지지하는 세력과 함께 중국 군대에 대한 저항 운동이 확대됩니다.

볼셰비키는 쉬수정의 군대와 대치하며 외몽골 내 러시아 영향력을 회복하고자 했습니다. 이는 1921년 몽골 인민공화국 수립의 초석이 되었으며, 외몽골은 이후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독립을 지켜나가는 계기를 마련하게 됩니다.

반응형

쉬수정이 이끄는 중국 변방군

5. 쉬수정의 외몽골 통치 실패와 중국 군대의 철수

외몽골에서 중국의 통치를 확립하고자 했던 쉬수정의 계획은 몽골 민족주의자들과 볼셰비키의 저항으로 인해 실패하게 됩니다. 특히 외몽골 내에서는 중국 변방군의 점령에 반발하는 무장 저항이 발생하며, 외몽골 민중의 독립 의지가 점점 강해졌습니다. 이에 더해, 몽골 귀족과 민중들은 중국의 통치를 받아들이지 않으며 강력한 저항을 펼쳤고,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 변방군의 통치는 지속되기 어려워졌습니다.

결국 쉬수정의 외몽골 통치는 실패로 돌아갔으며, 1921년 몽골 인민혁명과 함께 중국 군대는 외몽공에서 철수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중국의 외몽골 지배 정책에 있어 큰 좌절을 의미하며 외몽골은 독립국으로서의 지위를 확보하게 됩니다.

6. 쉬수정의 외몽골 출병이 남긴 유산과 역사적 의의

1919년 쉬수정의 외몽골 출병과 복드 칸국 점령은 중국과 몽골의 관계에 큰 전환점을 제공한 사건으로 평가됩니다. 외몽골의 독립 운동과 국제적 지원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몽골의 민족주의가 강화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중국과 소련 간의 이해 관계와 정치적 갈등을 반영하는 역사적 사건으로, 이후 외몽골이 소련의 지원을 받으며 공산주의 국가로 변모하는 길을 여는 역할을 했습니다.

쉬수정의 출병과 그 실패는 현대 중국과 몽골 관계에 있어 중요한 역사적 교훈을 제공하며, 몽골 독립에 대한 외교적 협력과 민족적 자결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게 만들었습니다. 또한, 당시 국제 정세에서 소련의 영향력이 동아시아로 확장되는 기폭제가 되었으며, 몽골이 독립 국가로서 자리를 확립하는 전환점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