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이슈

순국선열에 대한 묵념, '현충일'

by momentoushistory 2023. 6. 6.
현충일이 갖는 의미
반응형

현충일(顯忠日)은 '충렬을 드러내는 날'이라는 뜻을 가지는데요. 1956년 4월 19일에 6·25 참전용사를 비롯해 국가를 위해 희생한 이들을 추모하는 의미에서 대통령령 제1145호로 '현충기념일'로 제정되었으며, 이후 1975년 1월 27일 대통령령으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돼 '현충일'로 공식 개칭되었습니다. 또한, 1982년 5월 15일에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을 통해 정부기념일로 제정되었는데요.

반응형

대한민국 전역에서 기념행사가 열리며, 특히 국립현충원에서는 대통령을 비롯한 고위직 관계자들이 참석하는 공식 행사가 열립니다. 이 행사에는 묘역 참배, 헌화, 경내 방문 등이 포함됩니다. 공식 행사만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닙니다. 많은 한국인들이 이 날 가족들과 함께 전사자의 무덤을 찾아가 헌화하고 경의를 표합니다. 또한, 전국의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전쟁에 대해 배우고, 나라를 위해 희생한 용사들에 대해 공부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반응형

현충일 ⓒ국민일보

현충일의 유래
반응형

국가보훈부(옛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6월 6일이 현충일로 지정된 것은 망종(亡種, 곡식의 씨를 뿌리는 날)과 관련이 있는데요. 망종은 벼와 같이 수염이 있는 곡식의 종자를 뿌리기에 적당한 때로  농경 사회에서 보리를 수확하고, 모내기를 시작하는 망종은 가장 좋은 날이라, 국가를 지킨 영웅들에 대한 예를 갖추는 일을 망종에 진행해 왔다고 합니다.

반응형

고려 현종 때 조정에서 장병들의 뼈를 그들의 집으로 가져가서 제사 지내도록 했으며, 조선시대 때는 6월 6일에 병사들의 유해를 매장했다고 하는데요. 국가보훈부는 고려 현종 5년(1014년) 6월에 반포한 교서를 근거로 현충일을 6월 6일로 정한 것이라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