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녀는 궁밖으로 나와도 시집가면 안 된다’
궁궐에서 일하되, 언제든지 왕의 여자가 될 수 있기에 정조를 지켜야 했던 궁녀. 궁녀(宮女)는 궁인(宮人), 나인(內人), 여관(女官)이라고도 하는데, 본격적인 궁녀 제도는 고려 때 시작되었습니다.
반응형
조선시대에는 대체로 500∼600명이 존재했는데, 궁녀는 최소 네다섯 살 정도의 어린 수습나인(아기나인)에서 칠팔십 대의 원로 상궁까지 있었습니다. 그야 말대로 나라를 위해 한평생을 바친 인생이라 볼 수 있는데요.
이러한 체계는 근대화가 이뤄지는 과정 속에 조선이 멸망하고, 왕조 정권 체계가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동시에 완전히 무너지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우리나라의 근대화 물결 속에서 조선의 마지막 상궁은 어떤 삶을 살았을까요?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대한제국 황실 마지막 황후 윤 씨를 모셨던 김명길 상궁 1968년 윤황 후가 사망하자 창덕궁 낙선재를 퇴궁한 그녀는 곤궁한 삶을 살며, 여생을 보내야 했습니다.
조선의 전문직이라 할 수 있는 상궁이었던 그녀의 마지막 모습이 쓸쓸함을 느끼게 합니다.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키요에로 보는 조선 (0) | 2023.03.20 |
---|---|
조선시대에도 후라이드 치킨이 있었다? (0) | 2023.03.16 |
옛날 논산훈련소 짬밥(1990년대 초반) (0) | 2023.03.16 |
현대인과 역사 속 왕(王)의 '비만평행이론' (0) | 2023.03.14 |
미국에 발견된 고종 초상에 담긴 슬픈 역사 (0) | 202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