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대규모 학살, 제주 4.3사건

by momentoushistory 2023. 4. 14.
제주 4·3 사건은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가 무장봉기한 이래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될 때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25,000∼30,000명이 희생당한 사건입니다.
반응형

희생자의 많은 수(약 78%)가 토벌대에 의해 죽임을 당했고, 이 중에는 어린이·노인·여성이 약 30%를 차지하여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은 과도한 진압작전이 전개되었습니다.

1945년 일본의 패망 이후, 제주도는 한국의 일부로 편입되었지만, 북한과 남한의 분단으로 인해 정치적, 경제적인 불안정함이 지속되었는데요. 이에 따라 제주도는 미군, 중국군, 한국군 등 다양한 군대들이 출입하는 군사적으로 민란이 풍부한 지역이었습니다.

반응형

남로당 제주도당의 반경(反警)활동이때 남로당 제주도당은 조직적인 반경활동을 전개했습니다. 경찰발포에 항의한 ‘3·10 총파업’은 관공서와 민간기업 등 제주도 전체 직장의 95% 이상이 참여한, 한국에서는 유례가 없었던 민·관 합동 총파업이었습니다.

사태를 중히 여긴 미군정은 조사단을 제주에 파견, 이 총파업이 경찰발포에 대한 도민의 반감과 이를 증폭시킨 남로당의 선동에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대기 중인 수용자들

1947년부터는 지역적인 자치, 선거, 땅의 재분배 등을 놓고 갈등이 발생하였고, 1948년 4월 3일에는 제주도에서 학살 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 이 사건은 제주도 주민들의 민주주의와 땅의 분배를 놓고의 요구에 대한 정부의 대응이 논란스러웠고, 이를 계기로 제주도 내에서 폭력 사태와 충돌이 격화되었습니다.

반응형

4·3 봉기와 경찰의 진압활동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 350명의 무장대가 12개 지서와 우익단체들을 공격하면서 무장봉기가 시작되었습니다. 무장대는 남로당원 김달삼의 총지휘 하에 제주경찰서 관내의 7개 지서를 비롯하여, 모슬포경찰서 관내의 3개 지서 및 서귀포경찰서 관내의 3개 등 13개 지서를 동시에 습격하는 한편, 많은 사람들을 살상하고 방화·약탈·파괴 등 갖은 만행을 자행했습니다.

군정은 초기에 이를 ‘폭동상황’으로 간주, 경찰력의 증파를 통해 사태를 막고자 했으나, 사태가 수습되지 않자 주한미군사령관 '하지' 중장과 군정장관 '딘' 소장이 경비대에 진압작전 출동명령을 내렸습니다.

경비대원을 격려하는 이승만 대통령

반응형

제주 4.3 사건은 수많은 희생자와 피해자를 남기며 발생하였고, 그 규모와 성격 때문에 국내외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1992년에는 대한민국 정부가 이 사건에 대한 사과와 보상을 시작으로 다양한 조치를 취하였고, 제주도 사회와 국가 간의 화해와 조화를 추진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 사건은 대한민국의 역사와 민주주의, 사회적 통합에 대한 이해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학살당한 많은 민간인들

제주도 진압작전에서 전사한 군인은 180명 내외로 추정되며, 경찰 전사자는 140명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4·3사건 당시 희생된 경찰과 군인 및 우익단체원들은 모두 ‘국가유공자’로 정부의 보훈대상이 되었는데요.

반응형

미군정기에 제주도에서 발생한 제주4·3사건은 한국현대사에서 한국전쟁 다음으로 인명피해가 극심했던 비극적인 사건이었습니다. 그럼에도 사건 발생 50년이 지나도록 진상규명이 이루어지지 않아 민원이 끊이지 않다가, 2000년 1월 12일 「제주 4·3 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공포되면서 비로소 정부 차원의 진상조사에 착수하게 되었습니다.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50년대 서울의 모습  (0) 2023.04.15
100년 전, 한국의 결혼식  (0) 2023.04.14
100년 전에 영국 여성 화가가 그린 이순신  (0) 2023.04.14
희귀 대동여지도 환수  (0) 2023.03.30
사진으로 본 한국전쟁  (1) 2023.03.28